압록강을 건너 한강으로 압록강을 건너 한강으로 [김운회의 '새로 쓰는 한일고대사'] <23> 압록강을 건너 한강으로 ③ 기사입력 2008-10-24 오전 8:09:56 (3) 압록강을 건너 한강으로 부여계가 한반도로 이주했다는 사실에 대하여 한국의 사학계는 부정으로 일관하고 있지만 부여계의 남하에 대한 연구는 열도(일본).. [새로 쓰는 한일고대사] 2013.01.24
험난한 부여의 여정 험난한 부여의 여정 [김운회의 '새로 쓰는 한일고대사'] <22> 압록강을 건너 한강으로 ② 기사입력 2008-10-22 오전 7:48:02 (2) 험난한 부여의 여정 『후한서』에는 전연(前燕)을 건국한 모용부 즉 모용씨는 선비족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민족명이 아니라 다만 선비산(鮮卑山)에 살고 있어서 .. [새로 쓰는 한일고대사] 2012.11.15
어디로 가는가, 구름들이여 어디로 가는가, 구름들이여 [김운회의 '새로 쓰는 한일고대사'] <21> 압록강을 건너 한강으로 ① 기사입력 2008-10-20 오전 7:32:11 제 7 장. 압록강을 건너 한강으로 들어가는 말 푸른 염소를 부르네 ― 歌 노태맹 수만 나비의 강물, 붉은 하늘 너울거리며 날아가는 이름받지 못한 말들 들리.. [새로 쓰는 한일고대사] 2012.11.11
부여계 토착화의 진통 부여계 토착화의 진통 [김운회의 '새로 쓰는 한일고대사'] <20> 끝없는 전쟁의 시작 ③ 기사입력 2008-10-17 오전 7:59:52 (4) 부여계 토착화의 진통 부여계는 장기간 토착화되어 고대국가를 만들어간 신라와는 달리 여기저기로 이동하였기 때문에 토착민들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기는 어.. [새로 쓰는 한일고대사] 2012.11.08
고구려와 부여, 끝없는 전쟁의 시작 고구려와 부여, 끝없는 전쟁의 시작 [김운회의 '새로 쓰는 한일고대사'] <19> 끝없는 전쟁의 시작 ② 기사입력 2008-10-15 오전 7:38:05 (2) 쥬신 분열의 시작, 시앗 싸움 쥬신의 역사에서 가장 비극적인 측면은 고구려와 부여의 갈등입니다. 고구려와 부여의 싸움은 수백년에 걸쳐 진행된 것.. [새로 쓰는 한일고대사] 2012.11.05
쥬신류어(朝鮮類語)와 까오리류어(高麗類語) 쥬신류어(朝鮮類語)와 까오리류어(高麗類語) [김운회의 '새로 쓰는 한일고대사'] <18> 끝없는 전쟁의 시작 ① 기사입력 2008-10-13 오전 7:21:17 제 6 장. 끝없는 전쟁의 시작 들어가는 말 : 닮은 그대, 주몽과 김누루하치 저는 『대쥬신을 찾아서』를 통하여 주몽은 쥬신의 건국아버지의 표.. [새로 쓰는 한일고대사] 2012.10.31
'구다라', 곰나루인가 스마트빌딩인가? '구다라', 곰나루인가 스마트빌딩인가? [김운회의 '새로 쓰는 한일고대사'] <17> 안개속의 그 이름, 백제와 '구다라' ③ 기사입력 2008-10-10 오전 7:40:07 (4) '구다라(クタラ)', 곰나루인가 스마트빌딩인가? 쥬신은 예로부터 태양과 관련이 깊은 민족입니다. 태양을 의미하는 고유어는 '해'인.. [새로 쓰는 한일고대사] 2012.10.24
백제의 근거지, 요서 지역 백제의 근거지, 요서 지역 [김운회의 '새로 쓰는 한일고대사'] <16> 안개속의 그 이름, 백제와 '구다라' ② 기사입력 2008-10-08 오전 7:46:50 (3) 백제의 근거지, 요서 지역 이제 베일에 쌓여있는 '백제'라는 명칭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보도록 합시다. 먼저 『삼국사기』에서는 "온조는 하남위.. [새로 쓰는 한일고대사] 2012.10.07
고도(Godot)를 기다리며 고도(Godot)를 기다리며 [김운회의 '새로 쓰는 한일고대사'] <15> 안개속의 그 이름, 백제와 '구다라' ① 기사입력 2008-10-06 오전 7:28:38 들어가는 말 제가 에레훤(Erehwon)을 여행할 때의 이야기입니다.1) 바람이 휘몰아치는 황량한 벌판에서 나는 여러 명의 병정들이 줄을 맞추어 걷고 있는 .. [새로 쓰는 한일고대사] 2012.10.04
일본(日本), 왜(倭)를 정벌하다 일본(日本), 왜(倭)를 정벌하다 [김운회의 '새로 쓰는 한일고대사'] <14> 백제는 신화다 ③ 기사입력 2008-10-03 오전 9:13:51 (2) 일본(日本), 왜(倭)를 정벌하다 그러면 당시 중원(中原)에서는 쥬신과 부여를 어떤 방식으로 계통화하고 있는 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. 즉 쥬신 - 부여 - 까.. [새로 쓰는 한일고대사] 2012.10.01